북극 한파가 벌써 일주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한파가 워낙 강해 매년 겨울마다 혹한이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취재 기자와 함께 분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과학재난팀 김진두 기자 연결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한파가 조금 누그러드는가 싶더니, 오늘도 정말 춥더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어제와 오늘 기온 차가 상당합니다.<br /><br />서울 기온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토요일 서울 아침 기온이 영하 15.9도였는데 어제 아침은 영하 9.3도로 6도 정도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오늘은 영하 11.7도로 다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낮 기온은 편차가 더 심합니다.<br /><br />어제 영하 1.3도였는데, 오늘은 영하 6도로 5도 정도 낮아집니다.<br /><br />기온이 오름세였다 다시 떨어지면서 오늘 체감 추위가 더 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모레부터 한파가 물리지만, 강추위가 끝난 것은 아니라면서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렇습니다. 한파는 내일까지 계속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모레부터는 기온이 크게 오르면서 한파가 물러나겠는데요.<br /><br />서울 아침 기온이 영하 6도, 낮 기온은 영상 1도로 평년 기온을 회복하겠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주말부터 다시 기온이 크게 떨어져 다음 주 화요일까지 영하 10도의 강추위가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<br />기록적인 이번 한파는 북극 한기가 원인이라고 하는데, 왜 북극의 냉기가 우리나라까지 밀려온 건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겨울철 북극은 가장 추운 곳이죠, 이렇게 추우면 북극 상공의 강한 바람, 제트기류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냉기를 극지방에 가둬둡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온난화로 북극 기온이 상승하면서 극지방 제트기류의 속도가 느려지면서 극지방의 냉기가 중위도 지역까지 축축 처져 내려오게 된 겁니다.<br /><br />온난화가 이뤄지는데 더 추운 겨울을 맞게 되는 셈인데요, 이 때문에 온난화의 역설이라고 부릅니다.<br /><br /><br />그럼 매년 겨울마다 이런 북극 혹한이 반복될 수 있다는 건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렇습니다. 우리나라에서 북극 한기가 처음 나타난 게 2012년 정도쯤입니다.<br /><br />그 이후에는 거의 매년 반복되고 있는데요,<br /><br />특히 북미나 유럽, 중국 등지에서는 그 피해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파뿐 아니라 이상 난동과 겨울 폭우 등 형태도 다양합니다.<br /><br />온난화 속도가 획기적으로 늦춰질 가능성이 현재로는 낮아, 북극 한기로 인한 겨울철 기상 이변은 상당 기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<br />온난화로 인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8_2018012911481522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